AGGREGATE 함수 - 목록,데이터베이스 집계
엑셀의 AGGREGATE 함수는 목록이나 데이터베이스의 집계 결과를 구해줍니다. AGGREGATE 함수는 SUBTOTAL 함수를 대체할 수 있는 함수로 엑셀 2010 이상 버전부터 사용가능합니다. SUBTOTAL 함수와 비교해보면 값에 오류가 있으면 제외할 수 있고 …
엑셀의 AGGREGATE 함수는 목록이나 데이터베이스의 집계 결과를 구해줍니다. AGGREGATE 함수는 SUBTOTAL 함수를 대체할 수 있는 함수로 엑셀 2010 이상 버전부터 사용가능합니다. SUBTOTAL 함수와 비교해보면 값에 오류가 있으면 제외할 수 있고 …
엑셀의 DATEDIF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차이 값(연도, 월, 일수)을 구해줍니다. 근속연수를 구할 때 많이 사용하지만 날짜 값에 따라 계산이 잘못되는 버그가 있으니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구문(Syntax) 함수 사용 …
엑셀 FILTERXML 함수는 XML 데이터에서 원하는 부분을 가져옵니다. 웹서비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WEBSERVICE 함수와 같이 사용하면 외부의 XML 데이터를 엑셀로 가져와서 손쉽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 함수 사용 시 주의 …
엑셀 WEBSERVICE 함수는 인터넷에서 HTML, XML, JSON과 같은 형식으로 서비스되는 데이터를 엑셀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져온 데이터가 XML 형식이라면 FILTERXML 함수로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SS …
엑셀 ENCODEURL 함수는 URL로 인코딩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URL 인코딩은 보통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ENCODEURL 함수를 사용하면 엑셀에서 바로 인코딩할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ENCODEURL("우리나라") => '%EC%9A%B0%EB%A6%AC%EB%82%98%EB%9D%BC' …
엑셀 ISNA 함수는 값 또는 수식에 #N/A 오류가 발생했을 때만 오류로 인식합니다. #N/A 오류는 찾는 값이 없을 때 발생하므로 ISNA 함수를 사용하면 찾는 값이 없을 때 오류 대신 '찾는 값이 …
엑셀 ISERR 함수는 값 또는 수식에 #N/A 오류를 제외하고 오류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N/A 오류는 찾는 값이 없을 때 발생하므로 ISERR 함수를 사용하면 찾는 값이 없을 때 오류로 처리하지 …
엑셀 ISERROR 함수는 값 또는 수식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IF 함수와 결합하여 오류 발생 시 오류 대신에 다른 값을 표시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ISERROR 함수가 인식할 수 있는 …
엑셀 ISNUMBER 함수는 셀의 값이 숫자인지 아닌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ISNUMBER 함수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수식의 일부로 포함되어 수식의 중간 결과가 숫자인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
엑셀 ISBLANK 함수는 어떤 셀이 비어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공백, 눈에 보이지 않는 인쇄할 수 없는 문자, 웹에서 사용하는 공백 등은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비어 있지 않습니다. 이런 …
엑셀 RATE 함수는 대출 또는 투자의 이자율을 계산해 줍니다. RATE 함수를 사용하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고 일정 기간 동안 매월 정해진 금액을 상환할 때의 이자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 …
엑셀 IPMT(Interest Payment) 함수는 대출을 받고 난 후 대출금을 상환할 때 매달 상환해야 할 이자가 얼마인지 계산할 때 사용합니다. 비슷한 함수로 PMT 함수는 대출금 상환 시 원리금(원금+이자)이 얼마인지, PPMT 함수는 …
엑셀 PPMT(Principal Payment)함수는 대출을 받고 난 후 대출금을 상환할 때 매달 상환해야 할 원금이 얼마인지 계산할 때 사용합니다. 비슷한 함수로 PMT 함수는 대출금 상환 시 원리금(원금+이자)이 얼마인지, IPMT 함수는 이자가 …
엑셀 TRIM 함수는 텍스트에 포함된 공백을 제거합니다. 텍스트의 앞, 뒤의 공백은 모두 제거하고 단어 사이에 공백이 여러 개라면 하나만 남기고 모두 제거해 줍니다. 단, TRIM 함수는 키보드에서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입력하는 …
엑셀 CLEAN 함수는 텍스트에 포함된 인쇄할 수 없는 문자를 제거합니다.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다른 사람이 만든 엑셀자료를 가져와서 쓸 때가 있는데 가끔 텍스트에 알 수 없는 문자(동그라미, 음표, 값은 있으나 …
엑셀 LEFT 함수는 텍스트를 왼쪽부터 지정된 수만큼 잘라줍니다. LEFT 함수는 특정 문자의 위치를 찾아주는 FIND, SEARCH 함수와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텍스트를 잘라낼 때 많이 사용됩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
엑셀 MID 함수는 텍스트를 중간부터 지정된 개수만큼 잘라줍니다. 함수 이름 MID는 중간을 뜻하는 middle을 줄여쓴 것입니다. MID 함수는 특정 문자의 위치를 찾아주는 FIND, SEARCH 함수와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텍스트를 잘라낼 …
엑셀 RIGHT 함수는 텍스트를 오른쪽부터 지정된 개수만큼 잘라줍니다. RIGHT 함수는 특정 문자의 위치를 찾아주는 FIND, SEARCH 함수와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텍스트를 잘라낼 때 많이 사용됩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
엑셀 UPPER 함수는 텍스트에 포함된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줍니다. 반대로 LOWER 함수는 대문자를 소문자를 바꿔줍니다. UPPER 함수와 기능이 비슷한 PROPER 함수는 단어 단위로 로 바꿔줍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1) …
엑셀 LOWER 함수는 텍스트에 포함된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꿔줍니다. 반대로 UPPER 함수는 소문자를 대문자를 바꿔줍니다. UPPER 함수와 기능이 비슷한 PROPER 함수는 단어 단위로 로 바꿔줍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1) 텍스트를 …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과 관련된 수식과 함수를 알아보기 전에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이해하고 나면 날짜와 시간 관련 수식과 함수를 훨씬 쉽게 배울 수 …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과 관련된 수식과 함수를 알아보기 전에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이해하고 나면 날짜와 시간 관련 수식과 함수를 훨씬 쉽게 배울 수 …
엑셀의 ISOWEEKNUM 함수는 ISO 주차를 구해 줍니다. ISO (ISO 8601)주차는 한주의 시작은 월요일이며 연도의 첫 번째 목요일을 포함하는 주를 첫 주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구합니다. ISOWEEKNUM 함수와 기능이 비슷한 WEEKNUM 함수는 …
1년은 52주 또는 53주(아주 드물게 54주도 있음 - 2000년, 2028년)로 구성되어 있는데 엑셀의 WEEKNUM 함수로 어떤 날짜가 연 중 몇 주 차인지 구할 수 있습니다. WEEKNUM 함수로 주차를 계산하는 방식은 …
엑셀의 WORKDAY.INTL 함수는 지정된 작업 일수 이후의 날짜를 구해주는 WORKDAY 함수와 기능이 비슷하지만 주말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인수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 인수를 사용하면 토,일요일 뿐만 아니라 다른 요일을 …
엑셀 WORKDAY 함수는 시작일로부터 지정된 작업 일수 이후의 날짜를 구해줍니다. 작업 일수에 주말 및 지정된 휴무일은 제외됩니다. 작업 일수를 음수로 넣으면 이전의 날짜를 구해줍니다. 이 함수는 프로젝트 진행시 시작일로부터 일정 …
엑셀 VLOOKUP 함수는 셀 범위에서 원하는 값을 찾을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VLOOKUP이라는 함수 이름은 Vertical Lookup을 줄여서 쓴 것으로 다음과 같은 자료에서 '범위를 수직으로 내려가면서 값을 찾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엑셀 NETWORKDAYS 함수의 이름을 풀이해 보면 Net Work Days입니다. 우리말로 해석하면 '순 작업 일수'입니다. 전체 작업기간에서 주말이나 휴무일을 뺀 작업일수를 구해주는 함수라는 의미입니다. NETWORKDAYS 함수를 이용하면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의 작업기간을 …
엑셀 NETWORKDAYS.INTL 함수는 작업일수를 구해주는 NETWORKDAYS 함수와 기능이 비슷하지만 주말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인수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 인수를 사용하면 토,일요일 뿐만 아니라 다른 요일을 주말로 설정하여 작업일수를 구할 …
엑셀 SUBSTITUTE 함수는 텍스트의 일부를 새로운 텍스트로 바꿔 줍니다. 비슷한 기능을 하는 REPLACE 함수는 바꿀 위치를 정확히 지정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지만 SUBSTITUE함수는 바꿀 위치에 상관없이 텍스트를 바꾸어야 할 때 사용합니다. …
전자동 커피머신으로 유명한 유라(Jura) 커피머신의 독일 사이트의 가격표입니다. GIGA 6 모델의 가격이 3.499 유로? 원화로 환산하면 4,700원 정도하네요. 대박인데요!! 흠... 정말? 3.499 유로면 좋겠지만... 유럽은 영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
엑셀의 RANDARRAY 함수는 배열 형태로 난수를 구해주는 동적 배열 함수입니다. 이 함수가 나오기 전의 RAND 함수, RANDBETWEEN 함수는 한번에 하나의 난수만 구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RANDARRAY 함수를 쓰면 …
엑셀 UNICHAR 함수는 입력된 숫자 코드값에 해당하는 유니코드(Unicode)문자를 구해줍니다. 함수이름 UNICHAR는 유니코드의 영어표현 Unicode와 문자를 의미하는 Character의 앞 글자를 따온 것입니다. UNICHAR 함수는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TRIM, CLEAN 함수 등으로 …
엑셀의 CHAR 함수는 입력된 숫자 코드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구해줍니다. CHAR 함수는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강제로 '줄바꿈' 등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1) 코드값에 …
엑셀 UNICODE 함수는 함수의 이름 그대로 문자의 유니코드(Unicode)값을 구해줍니다. ※ UNICODE 함수와 유사한 CODE 함수는 ANSI/ASCII 코드값을 구해줍니다. ※ 유니코드(Unicode)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
엑셀 CODE 함수는 함수의 이름 그대로 문자의 코드값을 구해줍니다. 코드값은 사용하는 컴퓨터의 O/S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Windows를 사용하면 입력된 문자의 ANSI/ASCII 코드값을 구해주고, Mac을 사용하면 Macintosh 문자 집합의 …
엑셀의 SEQUENCE 함수를 사용하면 일정하게 증가하는 연속된 숫자목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단순한 숫자 목록을 만들 수도 있지만 2차원 형태의 목록도 만들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 사용 …
엑셀에서 최소공배수를 구하려면 LCM 함수를 사용합니다. LCM이라는 함수 이름은 최소공배수의 영어 표현 "Least Common Multiple"의 앞 글자에서 따온 것입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LCM(4,14) → 28 (4와 14의 최소공배수 …
엑셀에서 최대공약수를 구하려면 GCD 함수를 사용합니다. GCD라는 함수이름은 최대공약수의 영어 표현 'Greatest Common Divisor'의 앞글자에서 따온 것입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GCD(12,18) => 6 (12와 18의 최대공약수 6) =GCD(12,18,21) …
엑셀함수 ODD는 숫자를 가장 가까운 홀수로 올림하거나 내림합니다. 양수이면 올림하고 음수이면 내림합니다. 함수의 이름 ODD는 "이상한", "한쪽의", "홀수"를 의미하는 영어단어 Odd에서 가져왔습니다. 구문(Syntax) 사용예 1) 양수인 경우 가장 가까운 …
엑셀함수 EVEN은 숫자를 가장 가까운 짝수로 올림하거나 내림합니다. 양수이면 올림하고 음수이면 내림합니다. 함수의 이름 EVEN은 "평평한", "동등한", "짝수"를 의미하는 영어단어 Even에서 가져왔습니다. 구문(Syntax) 사용예 1) 양수인 경우 가장 가까운 …
엑셀에서 하루의 크기는 숫자 1에 해당합니다. 즉 24시간을 숫자로 1로 표현하다는 이야기이므로 12시간은 0.5, 6시간은 0.25가 됩니다. 엑셀 TIMEVALUE 함수는 텍스트로 표시된 시간 값을 숫자로 변환해 줍니다. 예를 들어 =TIMEVALUE("12:00")를 …
엑셀에서 범위의 데이터를 원하는 조건으로 조회(필터링)하려면 다음과 같이 리본메뉴 > 데이터 >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원본데이터 자체를 필터링했지만... 엑셀 2021 이상 버전부터 제공되는 FILTER 함수를 이용하면 원본 데이터를 손대지 않고 …
엑셀의 SUBTOTAL 함수는 목록이나 데이터베이스의 부분합(집계 결과)을 구해줍니다. 이름만 보면 합계만 구해줄 것 같지만 합계뿐만 아니라 평균, 최대값, 최소값 등 다양한 집계 결과를 구해줍니다. 그런데 합계(SUM), 평균(AVERAGE), 최대값(MAX) 등 집계 …
엑셀에서 범위의 데이터를 정렬하려면 다음과 같이 리본 메뉴에 있는 '정렬' 기능을 이용하여 원본데이터 자체를 정렬했지만... 엑셀 2021 이상 버전부터 제공되는 SORT 함수나 SORTBY 함수를 이용하면 원본 데이터를 손대지 않고 별도의 범위에 …
엑셀에서 SUMIFS 함수를 이용하면 여러 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합계를 구할 수 있는데, 오늘은 약간 응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월별 합계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SUMIFS 함수 기본 사용법 [ 엑셀함수 SUMIFS …
엑셀에서 범위의 데이터를 정렬하려면 다음과 같이 리본 메뉴에 있는 '정렬' 기능을 이용하여 원본데이터 자체를 정렬했지만... 엑셀 2021 이상 버전부터 제공되는 SORT 함수를 이용하면 원본 데이터를 손대지 않고 별도의 범위에 정렬된 …
엑셀 INFO 함수는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의 운영환경에 대한 정보를 반환합니다. O/S의 버전, 엑셀 버전, 열려 있는 엑셀 통합 문서의 활성 워크시트 수 등 몇 가지 유용한 정보를 확인할 수 …
엑셀 SWITCH 함수는 여러 개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하나의 값을 구해줍니다. SWITCH 함수와 기능이 비슷한 CHOOSE 함수는 표현식이 숫자로 된 값만 가능하고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SWITCH 함수는 숫자 뿐만 아니라 문자로도 …
NPV(Net Present Value)는 투자로 발생하는 현금흐름(유입)의 현재가치에서 초기 투자비를 뺀 금액입니다. 이렇게 구한 NPV가 0보다 크면 투자대비 수익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투자안을 채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투자안을 기각하는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