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IF함수는 SUM과 IF가 합쳐진 형태이다. “만약(IF) 어떤 조건을 만족하면 SUM하라”는 의미이다. 이 함수는 자료에서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의 숫자합계를 구해야 할 때 많이 사용되므로 익혀두면 많은 도움이 된다.
사용예 :
1) 판매실적에서 거래처별 합계구하기
아래 그림의 자료에서 거래처가 “신촌 아트박스”인 곳의 판매금액 합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해 보자.
=SUMIF(C4:C11,”신촌 아트박스”,E4:E11) => 710,000
SUMIF 함수의 인수를 살펴보자
- 첫번째 인수 “C4:C11″은 합계를 구할 조건범위이다.
- 두번째 인수는 조건범위에서 “신촌 아트박스”만 골라낸다
- 세번째 인수는 합계를 구할 범위이다.
정리해 보면 SUMIF함수는 아래 그림과 같이
- “C4:C11″범위에서
- “신촌 아트박스”인 행만 골라내어,
- 골라낸 행의 판매금액만 더해서 710,000원을 구해준다
2) SUMIF함수의 두번째 인수(값을 더할조건)를 셀참조로 입력하기
위의 예에서는 두번째 인수를 아래와 같이 직접 입력했는데 일일이 입력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SUMIF(C4:C11,”신촌 아트박스“,E4:E11)
다음과 같이 두번째 인수를 셀참조로 입력하면 편리하다.
“신촌 아트박스”를 D18셀에 입력하고 수식에서는 D18셀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D열에 있는 거래처의 이름만 바꾸면, 바꾼이름으로 SUMIF함수가 작동하므로 편리하다.
=SUMIF($C$4:$C$11,D18,$E$4:$E$11)
3) 특정문자열을 포함한 거래처 실적 구하기
이번에는 전체 거래처에서 특정 값이 포함된 거래처만 골라내서 판매실적을 더해보자.
E22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한다.
=SUMIF(C4:C11,”*아트박스“,E4:E11)
두번째 인수를 유심히 살펴보자.
“*아트박스”인데 “*”은 여러 문자를 의미하므로,
거래처명이 아무 문자로 시작하고 “아트박스”로 끝나는 곳을 찾으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수식은 아래 그램과 같이 거래처가
- 신촌 아트박스
- 서초 아트박스
인 곳의 판매금액을 더해서 구해준다.
4) 판매금액을 조건으로 합계 구하기
이번에는 판매금액을 조건으로 해서 합계를 구해보자.
전체 판매실적에서 6만원 이상인 것의 판매금액합계를 구하기 위해 다음 수식을 입력해 보자.
=SUMIF(E4:E11,”>=60000“,E4:E11)
- 두번째 인수가 “>=60000″인데
- “>=”는 크거나 같다는 뜻이미므로
- 판매실적에서 6만원 이상인 것만 구해서
- 합계 1,840,000원을 구해준다.
위의 경우와 비슷하지만 이번에는 5만원 미만인 판매실적의 합계를 구해보자.
=SUMIF(E4:E11,”<50000“,E4:E11)
- 두번째 인수가 “<50000″인데
- “<“는 작다는 뜻이미므로
- 판매실적에서 5만원보다 작은 것만 구해서
- 합계 42,000원을 구해준다.
※ 참고 : 위 수식에서 “>=”, “<” 등 수학기호가 사용되었는데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 “=100” : 100인
- “<>100” : 100이 아닌
- “>100” : 100보다 큰
- “>=100” 100보다 크거나 같은(100이상인)
- “<100” : 100보다 작은(100미만인)
- “<=100” : 100보다 작거나 같은
- “<>신촌 아트박스” : “신촌 아트박스”가 아닌
[ 수학 및 삼각 함수 ]
- 엑셀에서 SUMIFS 함수로 월별 합계 구하기
- 엑셀함수 SUBTOTAL – 목록이나 데이터베이스의 부분합(집계결과) 구하기
- 엑셀함수 EVEN – 가장 가까운 짝수로 올림,내림하기
- 엑셀함수 ODD – 가장 가까운 홀수로 올림,내림하기
- 엑셀함수 SIGN – 수의 부호 구하기
- 엑셀함수 MMULT – 두 배열의 행렬 곱 구하기
- 엑셀함수 MINVERSE – 정방행렬의 역행렬 구하기
- 엑셀함수 MDETERM – 배열의 행렬식 구하기
- 엑셀함수 TRUNC – 숫자에서 지정된 자릿수까지만 남기기(절사하기)
- 엑셀함수 POWER – 숫자의 거듭제곱 구하기
- 엑셀함수 PI(파이) – 원주율 구하기
- 엑셀함수 FACT – 팩토리얼(계승값) 구하기
- 엑셀함수 INT – 숫자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하기
- 엑셀함수 SQRT – 양의 제곱근 구하기
- 엑셀함수 LOG,LOG10,LN – 로그값 구하기
- 엑셀함수 EXP – 상수 e를 지수만큼 거듭제곱하기
- 엑셀함수 BASE – 10진수를 다른 진수로 바꾸기
- 엑셀함수 MROUND – 배수값으로 숫자 반올림하기
- 엑셀함수 CEILING, FLOOR – 배수값으로 숫자 올림,내림하기
- 엑셀에서 난수 구하기 – RAND, RANDBETWEEN 함수
- 엑셀에서 몫과 나머지 구하기 – QUOTIENT, MOD 함수
- 엑셀에서 숫자 반올림,올림,내림하기 – ROUND, ROUNDUP, ROUNDDOWN
- 엑셀함수 ABS – 절대값 구하기
- 엑셀함수 SUMPRODUCT – 숫자를 모두 곱하고 합계 구하기
- 엑셀함수 PRODUCT – 숫자를 모두 곱하기
- 엑셀함수 SUMIFS –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의 합계구하기
- 엑셀함수 SUMIF –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의 합계구하기
- 엑셀함수 SUM – 합계구하기
핑백: 엑셀함수 SUMIFS-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의 합계구하기 - XLWorks
C열의 아트박스를 아트박스1 이나 아트박스- 를 넣으면 못찾는데 해결방법 있을까요?
그런데 신기한건 1아트박스 나 -아트박스는 찾네요
안녕하세요. =SUMIF(C4:C11,”*아트박스”,E4:E11) 이 수식을 사용하신거 같은데요. “아트박스” 앞에 별표시(*)가 있으면 아무값으로 시작하되 아트박스로 끝나는 값을 찾으라는 의미입니다.
“아트박스1″이나 “아트박스-“를 찾으시려면 “아트박스*”로 하시면 되고 “아트박스”가 들어가면 무조건 다 찾으려면 다음 예처럼 앞뒤로 별표시를 붙이면 됩니다.
“*아트박스*”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아트박스가 아닌 것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아트박스”
“not 아트박스”
이런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트박스가 아닌 것을 찾을 때는 “<>아트박스” 로 하시면 됩니다.
“!=”, “not”은 안됩니다.
감사합니다.
위에 표시된 예시에서 특정 날짜의 아트박스의 노트 판매 수량을 구하려면 앞에 IF 함수 써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IF를 사용해도 되는데 SUM하는 조건이 여러 개 이면 다음과 같이 SUMIFS함수를 쓰면 편리합니다. SUMIF함수에 S가 붙은 형태입니다.
=SUMIFS(E4:E11,C4:C11,”신촌 아트박스”,D4:D11,”노트”, B4:B11,DATE(2017,7,2))
거래처가 “신촌 아트박스”이고 상품이 “노트”이고 판매일자가 2017-7-2인 것의 판매금액 합계를 구하는 예입니다.
SUMIFS함수 사용법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xlworks.net/excel_function_sumifs/
감사합니다.
sumif문에서 전체 기간 중 특정 선택일자 이전 혹은 이후를 계산하려는데 수식이 잘 걸리지 않네요.
A B C D E F
1 1/1 2/1 3/1 4/1 5/1 6/1
2 10 20 30 40 50 60
10 3/15
1, 2열의 자료와 10A의 선택일자로 선택일 이전의 자료를 sumif 하려 할 때에
=sumif($A$1:$F$1,”<$A$10",$A2:$F2) 의 식으로 작성했는데 혹시 어떤 부분이 잘못 되었을까요?
=SUMIF($A$1:$F$1,”<" & $A$10,$A2:$F2) 로 하시면 됩니다. 범위를 쌍따옴표로 둘러싸면 범위로 인식이 안됩니다. 그래서 연산자만 따옴표로 둘러싸야 합니다.
이해가되요
안녕하세요. 제가 가계부를 작성 중에 ‘현금’과 ‘카드’지출만을 구하기 위해
=SUMIF(G9:G1500, “”, D9:D1500)+SUMIF(G9:G1500, “*현금*”, D9:D1500)+SUMIF(G9:G1500, “*카드*”, D9:D1500)
이런 식으로 함수를 구성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되니 ‘현금 카드’나’현금카드’입력시 두배로 카운트되더라고요!
혹시 도움주실 수 있을까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현금과 카드의 지출을 각각 구하는데 “현금카드”와 같이 2개의 의미가 동시에 포함된 경우는 용어를 변경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현금카드 => Cash카드 등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예를 들어 3만원 이상 10만원 미만에 합계를 구할때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SUMIFS함수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SUMIFS(E4:E11,E4:E11,”>=30000″,E4:E11,”<100000")
혹시 수식이 작동안되면 쌍따옴표를 키보드에 있는 것으로 다시 입력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거의 같은 내용으로 수식을 걸어도 0만 나오는 경우는 뭐가 잘못된건가요…?
화면에 보이는대로 입력하면 가끔 안될 수 있습니다. 혹시 수식이 작동안되면 쌍따옴표를 키보드에 있는 것으로 다시 입력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내용에 안나와있는 부분이라 아마 안될 것 같은데 혹시 이런것도 가능한가요?
=SUMIF(C4:C11,”신촌 아트박스“,E4:E11)일 때 “신촌 아트박스” 부분을 D18로 해서 D18의 내용을 바꾸면 편하다, 고 하셨고, “XX 아트박스”로 아트박스를 포함하는 값들을 구하고자하면 “*아트박스”잖아요
혹시 D18같이 셀적용(?)을 할때도 별(*)이 유효한 방법이 있나요? *D18 같이…?
안녕하세요. 안될것 같습니다 ㅠ…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