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NETWORKDAYS.INTL 함수는 작업일수를 구해주는 NETWORKDAYS 함수와 기능이 비슷하지만 주말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인수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 인수를 사용하면 토,일요일 뿐만 아니라 다른 요일을 주말로 설정하여 작업일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
NETWORKDAYS.INTL(start_date, end_date, [weekend], [holidays])
전체 작업기간에서 주말(토/일요일, 임의 지정 주말)이나 휴무일을 뺀 작업일수를 구해준다.
인수
- start_date : 시작일
- end_date : 종료일
- [weekend] : 토요일/일요일 이외의 날짜도 다음과 같이 주말로 지정 가능
인수 요일 인수 요일 1 또는 생략 토요일, 일요일 11 일요일만 2 일요일, 월요일 12 월요일만 3 월요일, 화요일 13 화요일만 4 화요일, 수요일 14 수요일만 5 수요일, 목요일 15 목요일만 6 목요일, 금요일 16 금요일만 7 금요일, 토요일 17 토요일만 - [holidays] : 작업일 계산에서 제외할 날짜를 지정, 셀범위 또는 날짜의 배열상수를 선택할 수 있음
사용 예
1) 토요일, 일요일을 제외한 작업일수 구하기
아래와 같은 근무 시작일, 종료일 정보가 있을 때 토요일, 일요일을 제외한 작업일수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D5] 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합니다.=NETWORKDAYS.INTL(B5,C5)

- 첫 번째 인수 : 시작일
- 두 번째 인수 : 종료일
- 세 번째 인수 weekend가 생략되어 토요일, 일요일이 주말로 설정됨 → 작업일 계산 시 제외
2022-06-01부터 2022-06-15까지 총 15일이지만 토/일요일 4일(6/4, 6/5, 6/11, 6/12)을 빼면 작업일수는 11일이 됩니다.
2) 토요일,일요일 및 지정된 휴무일을 제외한 작업일수 구하기
아래와 같은 근무 시작일, 종료일 정보가 있을 때 토요일, 일요일 및 지정된 휴무일을 제외한 작업일수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NETWORKDAYS.INTL(B12,C12,1,$B$17:$B$19) => 10
- 세 번째 인수 weekend가 1이면 토요일, 일요일이 주말로 설정됨 → 작업일 계산 시 제외
- 네 번째 인수 holidays에 휴무일 [$B$17:$B$19] 범위 지정 → 작업일 계산 시 제외
2022-06-01부터 2022-06-15까지 총 15일이지만 토/일요일 4일(6/4, 6/5, 6/11, 6/12), 휴무일(6/6) 1일을 빼면 작업일수는 10일이 됩니다.
3) 월요일, 화요일을 제외한 작업일수 구하기
아래와 같은 근무 시작일, 종료일 정보가 있을 때 월요일, 화요일을 주말로 설정하여 작업일수에서 제외하고 작업일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NETWORKDAYS.INTL(B24,C24,3) => 11
- 세 번째 인수 weekend가 3이면 월요일, 화요일이 주말로 설정됨 → 작업일 계산 시 제외
2022-06-01부터 2022-06-15까지 총 15일이지만 월요일,화요일 4일(6/6, 6/7, 6/13, 6/14)을 빼면 작업일수 11일이 됩니다.

4) 세 번째 인수 weekend를 문자열로 입력(수/금/토 주말)
아래와 같은 근무 시작일, 종료일 정보가 있을 때 임의로 지정한 주말을 제외한 작업일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NETWORKDAYS.INTL(B31,C31,"0010110") => 8
세 번째 인수 weekend가 '0010110'과 같이 0, 1 조합의 7자리 문자열이면 아래 그림과 같은 규칙에 따라 주말로 설정됨 → 작업일 계산 시 제외됨
세 번째 인수로 원하는 요일에 주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NETWORKDAYS.INTL 함수의 진정한 가치는 이 인수의 기능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0은 평일, 1은 주말이므로 위의 "0010110"은 수/금/토요일은 주말, 나머지 요일은 평일로 설정됩니다.

2022-06-01부터 2022-06-15까지 총 15일이지만 수/금/토요일 7일(1, 3, 4, 8, 10, 11, 15일)을 빼면 작업일수는 8일이 됩니다.

관련 글
엑셀에서 날짜 데이터 다루기 -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과 관련된 수식과 함수를 알아보기 전에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이해하고…
엑셀에서 시간 데이터 다루기 -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과 관련된 수식과 함수를 알아보기 전에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방식을 이해하고…
엑셀에서 케이스별 작업일수 계산 - 들어가기 엑셀의 NETWORKDAYS.INTL 함수는 작업 기간에서 주말(토/일요일, 임의 지정 주말)이나 휴무일을 뺀 작업일수를 구해줍니다. 이 함수의 weekend 인수를 활용하면 토,일요일…
NETWORKDAYS 함수 사용법 - 엑셀 NETWORKDAYS 함수의 이름을 풀이해 보면 Net Work Days입니다. 우리말로 해석하면 '순 작업 일수'입니다. 전체 작업기간에서 주말이나 휴무일을 뺀 작업일수를…
DAYS 함수 - 날짜 사이의 일수 구하기 - 엑셀의 DAYS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구해줍니다. 이름이 비슷한 DAY 함수가 있는데 이 함수는 날짜 값에서 날짜 부분만 숫자로…
DAYS360 함수 - 360일 기준 날짜사이의 일수 구하기 - 엑셀 DAYS360 함수는 그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일 년을 360일로 하고 날짜 사이의 일 수를 계산해 줍니다. 1개월을 30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