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NA 함수 - #N/A만 오류로 인식
엑셀 ISNA 함수는 값 또는 수식에 #N/A 오류가 발생했을 때만 오류로 인식합니다. #N/A 오류는 찾는 값이 없을 때 발생하므로 ISNA 함수를 사용하면 찾는 값이 없을 때 오류 대신 '찾는 값이 …
엑셀 ISNA 함수는 값 또는 수식에 #N/A 오류가 발생했을 때만 오류로 인식합니다. #N/A 오류는 찾는 값이 없을 때 발생하므로 ISNA 함수를 사용하면 찾는 값이 없을 때 오류 대신 '찾는 값이 …
엑셀 ISERR 함수는 값 또는 수식에 #N/A 오류를 제외하고 오류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N/A 오류는 찾는 값이 없을 때 발생하므로 ISERR 함수를 사용하면 찾는 값이 없을 때 오류로 처리하지 …
엑셀 ISERROR 함수는 값 또는 수식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IF 함수와 결합하여 오류 발생 시 오류 대신에 다른 값을 표시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ISERROR 함수가 인식할 수 있는 …
엑셀 ISNUMBER 함수는 셀의 값이 숫자인지 아닌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ISNUMBER 함수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수식의 일부로 포함되어 수식의 중간 결과가 숫자인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구문(Syntax) 사용 예 …
엑셀 ISBLANK 함수는 어떤 셀이 비어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공백, 눈에 보이지 않는 인쇄할 수 없는 문자, 웹에서 사용하는 공백 등은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비어 있지 않습니다. 이런 …
엑셀 ISFORMULA 함수를 쓰면 셀에 수식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셀에 수식이 입력되어 있어야 하는데 실수로 값을 입력했을 때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SFORMULA 함수는 Excel 2013 …
엑셀 INFO 함수는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의 운영환경에 대한 정보를 반환합니다. O/S의 버전, 엑셀 버전, 열려 있는 엑셀 통합 문서의 활성 워크시트 수 등 몇 가지 유용한 정보를 확인할 수 …
엑셀 TYPE 함수는 값의 유형을 반환합니다. TYPE 함수는 잘 사용되지는 않지만 셀에 입력된 값의 유형을 검사하여 오류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숫자가 입력되어야 할 곳에 문자가 입력되었으면 '오류'로 …
엑셀 N 함수는 값을 숫자로 변환하여 반환합니다. 엑셀 수식에서 연산이 발생하면 논리값, 날짜 값 등은 자동으로 숫자로 변환되므로 수식에서 N 함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N 함수는 다른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과의 호환을 …
엑셀 CELL 함수는 셀의 서식이나 위치, 내용에 대한 정보를 구해줍니다. CELL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셀의 행번호, 열번호, 서식 등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구문(Syntax) * 함수 인수 info_type 종류(반환할 …
엑셀 함수 중에서 IS로 시작하는 아래와 같은 함수들이 있습니다. 이 함수들은 조건을 만족하면 TRUE, 만족하지 못하면 FALSE를 반환합니다.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주로 IF 함수 등 다른 함수의 일부로 포함되어서 사용됩니다. …